ISO/IEC 15416

1D 레이블 기반 코드 표준
1D 코드, ISO 15416의 검증 표준에서는 개별 스캔 라인 10개에 대해 각 스캔 라인에 할당된 코드의 높이와 등급을 통해 처리되어야 합니다. 스캔 라인 등급은 7가지 매개변수 테스트를 통해 결정됩니다. 가장 낮은 등급의 매개변수가 개별 스캔 라인에 대한 전반적인 등급이 됩니다. 공식 등급은 개별 라인 스캔 등급 전체 평균으로 결정됩니다.
앞에서 세 개의 매개변수 - 최소 반사율, 디코딩, 최소 가장자리 대비 - 는 합격 또는 불합격 등급으로 지정됩니다. 스캔 라인이 최소 반사율, 디코딩, 최소 가장자리 대비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해당 라인은 자동으로 불합격(F) 등급을 받습니다. 세 가지가 모두 합격이면 소프트웨어가 부호 대비, 모듈레이션, 결함, 디코딩 가능성 매개변수로 진행합니다. 각 등급은 A에서부터 F까지 부여됩니다. 모든 스캔 라인의 등급이 결정되면 스캔 10회를 평균해서 해당 바코드에 대한 공식 등급이 결정됩니다.
ISO/IEC 15416 품질 매개변수
최소 반사율은 빈칸에서 반사된 빛과 충분한 비율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막대가 충분히 어두운지 검증합니다. | ![]() 막대가 너무 밝음 |
가장자리 대비는 주변 막대와 빈칸 사이의 차이를 측정합니다. | ![]() 배경이 너무 어두움 |
모듈레이션은 대비에서의 지역적 편차를 의미합니다. | ![]() 지역별화된 대비 |
디코딩은 표준 참조 디코딩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 ![]() 부호 판독? Y/N |
결함은 막대 또는 빈 칸 하나에 영향을 주는 인쇄 오류, 오염, 다른 표시 등입니다. | ![]() 불규칙성 |
판독 가능성은 막대와 빈 칸의 이상적인 크기와 비교했을 때의 정밀도 등급을 결정합니다. 막대 너비가 증가하거나 왜곡된 바코드는 낮은 디코딩 등급을 받습니다. | ![]() 막대 너비 증가/손실 또는 왜곡 |